준비를 철저히 하자
산에서 뛰기 위해서는 사전에 미리 준비를 잘해야 한다. 산에서 달린다는 것은 한강변에서 혹은 육상트랙에서 아니면 자전거도로나 인근 공원에서 달리는 것과는 차원이 다르기 때문이다. 산속에서는 언제 어디서든 사고와 부상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에 철저하게 대비해야 한다. 필요한 물품으로는 먼저 가벼운 배낭과 마실 수 있는 넉넉한 식수가 필요하다. 또한 급격한 체력소모와 허기짐을 채워줄 에너지바, 바나나, 초콜릿, 사탕, 에너지 젤, 정제염 등도 챙겨야 한다. 산을 뛰는 것은 일반 평지에서 달리는 것보다 2배 이상의 체력이 필요하고 그에 따른 에너지 고갈도 빨리 오기 때문이다. 그리고 예기치 못한 사고나 부상을 당했을 때를 대비해서 비상 구급약품도 챙겨야 하고, 조난 시에 필요한 휴대폰과 나침반도 꼭 챙겨야 한다. 그리고 갑작스러운 기상변화로 인한 소나기와 같은 악천후에 대비해서 우의와 여벌의 옷도 준비해야 한다. 이렇게 산에 가서 달리기 위해서는 평소보다 훨씬 많은 것을 준비해야 하고 미리 지도를 펼쳐놓고서 출발점과 결승점을 찍어놓고 코스도 정해 놓아야 한다. 이렇게 철저한 준비를 하고 산에 올라도, 평소에 아주 잘 아는 길이 아니라면 길을 잃어버리거나 헤매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
어떤 산을 달려야 할까?
트레일 런닝이 처음인 사람은 근처에 있는 흔하게 볼 수 있는 높이 200m ~ 300m 내외의 낮은 얕은 산을 추천한다. 우리나라는 국토의 70%가 산악지형으로 이루어진 나라여서 이런 산들은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경사도가 완만하고 등산로가 갖추어진 곳이면 더욱 좋다. 그래야 산속에서 달리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 고도가 높고 경사가 급격한 곳은 뛰어 올라가기가 쉽지 않고 금방 지치기 때문이다. 가장 좋은 것은 동네 사람들이 자주 가는 산을 추천한다. 이런 곳은 등산로가 잘 정비되어 있어 길을 잃어버릴 염려도 없고 혹시라도 부상을 당하거나 다치는 경우가 발생해도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하기도 쉽기 때문이다. 또한 요즘은 멧돼지나 뱀과 같은 야생동물들의 출현이 많아서 굉장히 위험한데,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다니는 곳을 달려야 이런 위험한 동물과 마주칠 확률이 낮다. 그리고 겨울에는 트레일 러닝을 하면 안 된다. 겨울산행도 굉장히 위험한데, 눈이 쌓이고 미끄러운 얼음이 있는 겨울 산속에서 달리는 것은 굉장히 위험하다. 미끄러져서 넘어지거나 낙상을 당할 확률도 높고 저체온증에 걸릴 위험도 높다.
산속에서 얼마동안 달려야 할까?
산속에서 피톤치드를 온몸으로 흠뻑 받으며 상쾌한 공기를 마시며 달리는 트레일 러닝은 그야말로 환상적인 달리기이다. 흔히 말하는 '러너스 하이(Runner's High)'를 느끼기에는 산속에서 달리기가 최고이다. 산속에서 달리는 재미와 감동을 느끼려면 기본적으로 약 2시간 내외가 적당하다. 물론 개인의 운동능력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그 이상을 달리면 피곤이 몰려야 급격히 피로해 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트레일 러닝은 혼자보다는 친구나 동료와 함께 호흡을 맞추어 달리는 것이 좋다. 그래야 전혀 생각지도 못한 사고나 부상을 당해도 보다 쉽게 응급조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산에 올라가면 항상 명심해야 한다. 산속에서는 언제 어디서나 갑작스러운 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그래서 그것에 대한 대비와 준비를 하고 있어야 한다. 그래서 산에 올라가면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안전이다.
어떤 신발을 신어야 할까?
트레일 런닝을 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러닝화나 쿠션화를 신어서는 안 된다. 우리가 등산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등산화부터 구입하는 것처럼 트레일 러닝을 하려면 반드시 트레일화를 구입해야 한다. 산은 돌과 바위 그리고 흙과 나무뿌리와 같은 단단하고 날카로운 것들로 바닥이 이루어져 있어서 일반 도로나 우레탄 트랙용으로 제작된 부드러운 신발을 신고 달리면 신발이 금방 망가지고 또한 부상을 당할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속에서 달릴 수 있을 만큼 내구성이 강하고 튼튼한 밑창과 소재로 되어 있는 전문적인 트레일화를 반드시 신어야 한다. 참고로 트레일 런 대회에서는 만약 참가자가 트레일화가 아닌 일반 러닝화나 운동화를 신고 참가를 하면 사전 준비물 검사에서 불합격되고 대회 참가가 불허된다. 때문에 시중에 나와있는 트레일화를 준비해서 신어야 한다.
'마라톤(Mara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속주(페이스주) 달리기 요령 (0) | 2022.09.08 |
---|---|
풀코스 마라톤 대회 준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점 (0) | 2022.09.06 |
계단 뛰어 오르기 훈련의 장점 (0) | 2022.09.05 |
장거리 달리기 잘하는 요령 (0) | 2022.09.05 |
부상없이 즐겁게 뛰는 법 (0) | 2022.09.01 |
댓글